미래에너지펀드, 태양광비중 30%이하 제한...풍력·수소 집중
17일 열린 미래에너지펀드 조성 협약식에서 김주현 금융위원장(사진 가운데)과 6개 은행장이 MOU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금융위)오는 6월 1단계 총 1조2600억원 규모로 선보일 미래에너지펀드가 태양광발전 투자를 30% 이하로 제한하기로 했다. 산업 초기 단계인 풍력발전과 수소·암모니아 관련 인프라 투자 확대에 집중하기 위해서다. 펀드 투자협의체 간사는 산업은행이
17일 열린 미래에너지펀드 조성 협약식에서 김주현 금융위원장(사진 가운데)과 6개 은행장이 MOU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금융위)오는 6월 1단계 총 1조2600억원 규모로 선보일 미래에너지펀드가 태양광발전 투자를 30% 이하로 제한하기로 했다. 산업 초기 단계인 풍력발전과 수소·암모니아 관련 인프라 투자 확대에 집중하기 위해서다. 펀드 투자협의체 간사는 산업은행이
흙막이 가시설 공사 예시 사진(본문 사업장과는 관련 없음)(사진출처=가우리안)지난 글에서 이야기한 '공사비 절감방안'을 요약하자면, 사업부지 특성에 맞는 적정한 건축 연면적을 찾고비(非)건축부분의 공사비를 줄여, 매출로 계산되는 임대면적 1평당 원가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것입니다.이 때 임대면적의 전용면적 비율은 개발사 또는 건물주(임대인)의 기준이 아닌, 임차인이 인정할
사진=GWEC의 '2024 세계 풍력보고서'세계풍력에너지협의회(GWEC)는 "한국이 2030년 풍력발전 설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민간 개발 방식과 정부 주도 방식 등 투트랙 시스템을 시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GWEC가 16일 발표한 '2024 글로벌풍력 보고서' 중 국가별 현황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현 해상풍력 운영 용량은 133MW로 2030년 설치용량 목표(14.3GW)
효제동 오피스 공사예정 사업장(사진:네이버 지도)DL이앤씨가 서울 종로 효제동 자체 개발사업 상품을 오피스텔에서 오피스로 바꾼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도심권(CBD)과 인접한데다 오피스시장 수요가 높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16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효제PFV는 서울 종로구 효제동 98번지 일대 7465㎡ 부지의 개발 사업 건축물을 업무시설로 변경해 인허가를 마쳤다.
유럽의 해빗 코리빙공간(해빗 홈페이지)글로벌 코리빙 1위기업인 ‘해빗(Habyt)’이 SK디앤디와 파트너십을 맺고 한국 코리빙시장에 진출한다. 지난달 싱가포르 코리빙기업 위브리빙이 KKR과 손잡고 한국시장 진출을 선언한 데 이어 해외 코리빙기업들이 속속 국내에 발을 디디고 있다. SK디앤디는 ‘해빗(Habyt)’과 주거 솔루션 역량 강화를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6일
일본 도쿄 주거시설 밀집지역(사진=게티이미지뱅크)대신자산신탁이 비상장 공모 리츠를 통해 일본 임대주택(렌탈 하우징)건물 10곳을 사들인다. 이달 초 매매계약을 체결했으며 내달 공모를 거쳐 매입을 마무리하고 운영에 나설 계획이다. 15일 리츠업계에 따르면 대신자산신탁이 지난 3월 27일 영업인가를 받아 설립한 '대신재팬레지던스리츠1호'가 지난 5일 일본 임대주택 10곳을 매입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더
몬드리안 서울 이태원(사진=호텔 홈페이지)신영증권이 '용산 몬드리안서울 이태원호텔' 담보대출 리파이낸싱에 나섰다. 건물주인 호텔캐피탈이 이 호텔을 담보로 선순위 1750억원, 후순위 600억원 등 2350억원의 자금을 조달해 기존 대출금, 금융비용, 미지급 공사비 등을 상환하기 위해서다. 15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용산 몬드리안호텔 리파이낸싱 금융주간사인 신영증권은 새마을금고와 저축은행 등 잠재 대주를 상대로
게티이미지뱅크올 들어 국내 오피스빌딩에 대한 외국계 투자자의 처분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낮은 공실률과 견고한 임대료를 바탕으로 한국 오피스시장이 나홀로 호황을 지속하자 높은 가격에 현금화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외국계 자본은 대신 물류센터·데이터센터 등 '뉴이코노미(New Economy) 부동산'과 '임대주택(Residential)'매수에 나서고 있다. 1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영국 푸르덴셜 계열
서울 도심(게티이미지뱅크)상업용부동산시장이 점점 어려워지는 가운데 업계도 조금씩 재편되는 것 같습니다. 각자의 특정 자산이나 섹터별로 전문성을 가지고 성장했던 부동산회사들의 옥석이 점차 가려지고 있습니다. 이런 시기에는 그래도 안정적이고 우량한 자산을 보유한 곳들은 견딜만한 체력을 가지고 살아남을 것입니다. 이외에 재무적으로 안정적인 대기업 계열의 회사들은 버틸만한 기초체력이 있어 큰 어려움은 없어 보입니다.
게티이미지뱅크사모펀드 투자회사(Private equity investor)인 누빈 인프라(Nuveen Infrastructure)와 한국 합작법인 파트너인 SK이터닉스가 한국의 태양광사업과 관련한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구매자로 현대건설을 확보했다. 누빈 인프라는 '가상 전력구매 계약(VPPA)'에 따라 합작법인(JV)의 태양광 발전소 전력 생산과 관련한 모든 REC를 현대건설이 구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고정가격 계약은
게티이미지뱅크예전 인터넷카페에서 토지분석가로 활동할 때 심심찮게 받는 질문이 있습니다. '어떤 토지가 좋은가요?' '이 지역의 토지는 괜찮은가요?' '이 토지가 주변 시세에 비해 싼 거 아닌가요?' 토지를 처음 접하는 분들께서 일반적으로 이렇게 많이 물어보시는데요. 제가 생각하는 좋은 토지란 "가치가 있는 저렴한 토지"입니다. 토지 위에 어떤 건축 행위를 할
게티이미지뱅크우리 금융시장에서 "부동산 PF"는 부동산, 특히 아파트, 상가 등 비생산 시설에 대한 금융을 포괄적으로 일컫는 금융용어로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착공시점 이후 시공에 소요되는 자금을 "본 PF 자금"이라 부르지만, 토지 매입과 인허가 과정에서 소요되는 비용을 포함하기도 합니다. 후자의 비용은 시행자의 출자금과 금융기관에서 차입으로 조달되는데 차입금은 본 PF 자금으로 상환하는 조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