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충전시설, 민자사업 먹거리 가능할까
정부는 지난 9월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민투심)를 열어 `경기도 공용전기차 충전시설'을 민간투자사업 대상으로 처음 지정했다. 이로써 민자 대상이 교통 인프라 뿐 아니라 신산업 기반 시설로 확장됐다.
이 시설은 기존 민자 열거주의에서 불가능했으나, 포괄주의 도입 이후 가능해진 두 번째 민자 사업이다. 1호 사업은 지난해 말 지정된 부산시 금강공원 케이블카 현대화사업이 있다.
사업주체인 경기도는 앞으로 구체적 사업계획 마련 및 타당성 분석 등을 거쳐 공용전기차 충전시설 민자사업을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BOT(건설-운영-이전) 사업방식을 적용하고 총 10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전기차 충전설비 60기(완속 58기, 급속 2기)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새로운 민자 유형으로 떠오른 전기차 충전시설의 사업 전망은 어떨까. 이에 대해 신한투자증권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국내시장 현황과 전망'이라는 대체투자 분석 보고서를 내고 대규모 자금이 필요한 인프라사업 특성상 민자 시업 가능성이 열려있다고 분석했다.
그동안 중소 기업과 벤처 캐피탈(VC), 일부 사모펀드(PE)의 투자에 의해 성장했지만 앞으로 성장을 위해서는 인프라펀드 투자, 프로젝트금융(PF), 대기업 참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신한투자증권에 따르면 오는 2025년까지 정부의 목표인 충전기 50만기 설치가 가능하려면 추가 설치가 필요한 충전기가 약 40만기에 달한다. 완속 충전기 수준의 기당 200만원의 투자비를 가정할 경우 필요한 투자비 총액은 약 8000억원에 달한다.
다만 충전사업이 본업 외에 부가 수익을 내거나 인접 사업과 연계하는 형태로 사업 모델을 진화해야 민자 투자가 활성화되는 시장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전기차 충전사업은 지금까지 보조금에 의존하는 일부 선도 기업에 의해 진행됐다. 전체 차량 중 전기차 비중이 늘면서 이제 충전 수익을 주 수익원으로 하는 사업모델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황재곤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충전수익의 안정적 모델이 검증된다면 더 이상 보조금에 의존하지 않고 충전수익을 주 수익으로 하는 사업모델이 보편화될 것"이라며 "이에 더해 광고, 전력 등의 부가수익을 얻는 형태로의 진화가 예상되며, 이미 기업들은 이를 위한 다양한 시도를 진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점차 사업모델과 수익구조가 검증되면 일정 시점에서는 인프라펀드의 참여가 가능한 시장으로의 변화가 예상된다. 황 연구원은 "미국의 분산전원 사업과 유사하게 복수의 자산집합을 대상으로 유동화, PF형태의 대출투자, 인프라 펀드 투자 등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전기차 충전사업은 전력사업, 부동산 사업, 리테일 사업, 모빌리티 사업 등 다양한 사업과 연계돼 있어 이들 사업모델과의 진화도 필수 요소라고 신한투자증권은 역설했다.
예를 들어 전력사업 관점에서 충전은 에너지사업의 한 부분이다. 전력 수요를 줄이거나 늘림으로서 전력시장에 참여하는 수요자원, 다른 발전자산과의 연계를 통한 가상발전(VPP), 전력시장에 전력을 역송하는 V2G 등의 사업은 다양한 기업에서 시도중이다. 부동산 사업의 관점에서는 주차장, 상업건물과의 연계로 부가수익을 창출하는 수단으로 사업모델을 만들 수 있다.
황 연구원은 " 앞으로 전기차 충전사업은 렌터카 등 모빌리티 사업, 리테일 사업 등 다양한 인접 사업과의 협력을 통해 사업모델을 확장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