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근무자 축소 요구에..전문인력 많은 은행 IB부서 '골머리'
경남은행발 PF대출 횡령사고의 불똥이 연말 정기 인사시즌을 맞은 은행 IB부서에 튀었다. 전문성을 요하는 IB인력 특성상 장기 근무자가 많은데, 이들을 대상으로 사고 예방을 위해 순환근무 요구가 거세지고 있는 것이다.
장기 근무자 비중을 순환 근무 직원 대비 5% 이하로 줄이는 게 금융당국의 목표지만 전문인력 축소는 IB영업의 위축을 불러올 수 있어 은행들의 고민이 크다.
7일 IB업계에 따르면 올 들어 터진 경남은행의 거액 금융사고 이후 금융감독원은 '국내은행 내부통제 혁신방안'을 마련해 지도하고 있다.
현재 시중은행의 11.4% 수준인 장기근무자를 순환근무 직원 대비 5% 이하로 관리하는 게 목표다. 특히 이 비율 달성을 당초 2025년말까지 계획했으나 내년 말까지로 앞당기기로 했다.
이 경우 현 장기근무자의 절반 이상이 짐을 싸 영업점이나 다른 부서로 이동해야 한다. 아울러 장기근무자 승인권자를 기존 부서장에서 인사담당 임원으로 높이는 한편 장기근무 승인요건으로 불가피성이 있어야 하고 사고위험 통제가능성(채무·투자현황 확인 등)의 심사를 거쳐야 한다. 또한 순환근무 예외직원에 대해선 특별 명령휴가제 도입, 부서내 업무 순환, 영업(front)과 자금결제(back) 업무의 직무분리 등 별도의 사고예방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 한 부서에서 장기 근무가 어려워졌고 설령 남더라도 업무 통제가 크게 강화된 것이다.
사고예방을 위한 당국의 내부 통제 강화 정책에 따라 은행들은 정기 인사에 맞춰 인력풀을 바꾸고 있다. 다만 IB와 같은 특수 업무 연속성과 전문성이 훼손되지 않을까 속앓이를 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5년 이상 장기 근무자를 순환 근무하도록 의무화하다 시피 했고, 신한은행은 당국의 의도에 맞춰 선제적으로 인사 이동을 실시했거나 준비하고 있다.
전문IB인력을 별도 채용해 육성해온 국민은행은 HR(인사담당) 조직 차원에서 대응책을 마련하는 한편 당국을 상대로도 장기 근무 불가피성을 설득하고 있다.
현실로 닥친 순환근무에 은행 IB부서원은 볼멘소리를 내고 있다. 글로벌 은행과 경쟁하기 위해 IB인력 육성을 강화해야 할 판에 전문성을 퇴행시키는 조치라는 것이다. 특히 인프라금융이나 발전금융부서는 부동산금융부서와 업무 방식이 달라 횡령사고 노출 우려가 적음에도 같은 도매금으로 묶여 난처함을 호소하고 있다.
A은행 IB관계자는 "PF도 여러 종류가 있는데 부동산개발PF는 단기 거액의 수익을 추구하는 특성이 있지만 인프라개발PF는 국가 정책상 영향이 크고 장기간 사업 끌고가려면 고도의 전문성이 필요하다. 빈대를 잡으려다 자칫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으로 대형 인프라산업 추진이 위축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B은행 관계자도 "전문인력 육성 부족으로 IB시장 점유율이 떨어지는 와중에 되레 순환근무를 늘리면 인력 유출이 심화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우리은행의 경우 영업점 순환근무를 꺼리는 IB부서 직원들이 대체투자 자사운용사로 이탈하는 사례가 감지된다.
당국의 순환근무 요구에 맞추면서도 IB전문성을 잃지 않기 위해 은행 내 유관부서간 인력교류를 통해 순환 근무를 해결하는 고육지책도 나온다.
농협은행은 IB사업부, CIB심사부, 프로젝트금융부, 심사부 등 유관부서 직원간 1~2년 인력을 교류하면서 전문성을 잃지 않기 위해 애쓰고 있다. 유관부서 순환근무가 되지 않을 경우 영업점에 보내지 않고 금융연수원에 6개월 과정의 특수금융 또는 여신전문가 교육과정을 보내는 방식으로 순환근무를 시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