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서 1.6GW급 해상풍력 허가 오스테드, 8조 조달 가능할까
해상풍력발전 큰손인 덴마크 오스테드(Ørsted)가 인천 해상에서 1.6GW 규모의 풍력발전 개발을 할 수 있는 사업 허가를 받았다. 해상풍력 단지로는 국내 최대 규모다. 앞으로 2~3년 내 예상되는 금융조달 규모만 8조원의 달할 것으로 보여 역대 최대 규모 PF사례가 될 전망이다.
오스테드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인천 해상풍력의 발전사업 허가 신청을 승인받았다고 지난달 30일 밝혔다. 1608MW급의 인천해상풍력 사업은 인천 연안에서 70km 이상 떨어진 해상에 위치한다.
오스테드는 앞으로 한국내 첫 해상풍력발전 사업 진행을 위해 환경영향평가, 지질 및 지반 조사, 고정가격계약 경쟁 입찰 준비 등의 절차를 거쳐 '최종 투자 결정 (Final Investment Decision,FID)'을 완료할 계획이다. 이어 자금조달과 착공을 거쳐 오는 2030년 운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앞서 지난달 초 오스테드가 미국 해상풍력 포트폴리오 재검토의 일환으로 뉴저지주 오션윈드(Ocean Wind)1&2 개발을 중단한다고 발표하면서 한국내 사업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제기됐다.
오스테드는 한국 시장에서의 진행이 더디긴 하지만 인천 사업이 아시아 교두보로서 의미있다고 보고 계속 추진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오스테드의 PF 파이낸싱은 관련 절차상 향후 2~3년 내 진행될 것으로 예상한다. 인천해상풍력 사업의 금융자문사인 산업은행은 발전허가를 받는 과정에서 1단계 자문을 제공했고, 앞으로 금융조달까지 2단계 자문에 들어간다.
인천해상풍력의 총 사업비는 10조원, PF조달 규모는 8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오스테드는 자기 자금으로 약 2조원에 이르는 자본금 투입을 공언하고 있다. 그래도 최대 8조원에 달하는 타인자본은 천문학적 수치다.
단일 모집액이 워낙 커 PF금융이 가능한 은행, 보험사 등이 모두 참여해도 자금 조달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국내 금융사들이 선호하지 않는 분리발주(멀티 컨트랙팅) 형태로 EPC사업을 진행할 경우 더더욱 자금조달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점이다.
해상풍력발전 설비는 터빈(블레이드, 너셀, 발전기 등), 타워, 하부구조물, 해저케이블, 변전설비 등으로 구성되는데 분리 발주는 각 구조물의 설계와 제작·설치기업과 각각 나눠 공사를 계약하는 방식이다. 기자재값 인플레와 고금리로 공사비가 크게 오르자 비용 절감을 위해 설비별 최적의 공급자(best-in-class supplier)를 개별 선정해 분리 발주하는 추세가 글로벌 트렌드를 이룬다.
앞서 지난해 착공에 들어간 전남해상풍력이 분리발주로 공사를 진행한다. 그러나 국내 금융사는 단일 EPC로부터 책임 준공을 포함한 건설과정 리스크와 채권을 보전받기 위해 단일 EPC의 총괄 발주를 선호한다. 담보와 채권보전 중심의 국내 금융사 특성상 내부 투자심의 승인을 받기도 쉬워진다.
때문에 앞서 전남해상풍력 사업주인 SK E&S와 CIP(코펜하겐 인프라 파트너스)는 국내 금융기관 없이 해외 금융기관 중심의 대주단과 6000억원 규모의 대출약정을 체결했다.
해상풍력발전 관계자는 "오스테드가 사업비 절감을 위해 분리 발주(멀티 컨트랙팅) 방식으로 사업을 진행할 경우 PF참여기관을 해외에서 찾아야 할 수 있다"면서 "해외 유동성이 나아졌다고는 하지만 이번사업의 조달규모가 워낙 커 딜 클로징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해상풍력업계는 오스테드가 PF금융 또는 기업금융 중 유리한 금융조달 방식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오스테드는 올해 기준 총 8.9GW 설비 용량에다 28개 해상풍력 발전단지를 운영하는 글로벌 해상풍력 선도기업이다. 인천해상풍력 발전단지가 완공되면, 인천을 포함하여 수도권 내 연간 100여만 가구에 청정에너지 공급이 가능하고 연간 약 4000만 미터톤의 이산화탄소가 감축될 것으로 오스테드는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