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니어 하우징’ 개발시 다양한 헬스케어 도입의 중요성
"나이가 들어 아프면 누가 날 돌봐주나? 자녀들에게 부담 주기는 싫고..."
지난해 12월 23일 우리나라도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했다. 노인인구 비율이 전체 인구의 20%가 넘는 사회가 현실화된 것이다. 초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시니어인구의 걱정거리인 건강 관리(헬스케어)도 주거 선택시 중요한 고려 항목이 됐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24년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시니어 타운 입주 희망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 중에 건강관리서비스가 최상위로 꼽혔다.
해당 조사에서 응답자의 78%가 건강관리 서비스를 시니어 타운 선택의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언급했으며, 이는 식사 서비스(52%), 안전 관리(48%) 등의 다른 영역을 크게 웃도는 비율로 시설의 등급 평가 항목 중에서도 주요한 기준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시니어 타운이 제공하는 기본 건강관리 서비스와 높은 등급으로 평가되기 위한 프리미엄 서비스를 소개하고자 한다.
기본 건강관리 서비스: 필수적 도입 요소
일반 주택과 차별화 포인트로 모든 시니어 타운에는 필수적으로 건강관리 서비스가 들어간다. 타깃 입주자에 따라 케어 정도 차이가 있으나 입주자의 일상 건강을 유지하고 긴급 상황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 가장 기본이 되는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기본 건강 모니터링: 정기 건강검진과 혈압, 혈당 등 주요 건강 지표의 모니터링
응급 대응 시스템: 24시간 호출 버튼과 응급 의료 지원.
약물 관리 서비스: 입주자의 처방약 복용 시간 및 복용량 관리
건강 정보 제공: 건강 세미나와 기본적인 생활 건강 수칙 교육
예를 들어 케어닥의 케어홈 실버타운에서도 이러한 기본 건강관리 서비스가 제공된다. 케어닥은 입주자의 건강 상태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응급 호출 시스템과 지역 병원과의 연계를 통해 신속한 의료 대응을 지원한다. 또한 입주자별 약물 관리와 생활 습관 개선을 위한 건강 정보를 제공해 일상적인 건강을 유지하도록 돕고있다.
건강관리 서비스 평가지표와 주요 항목
시니어 타운의 건강관리 서비스 평가는 입주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하는 데 핵심적인 지표로 작용한다. 다음의 항목을 평가 지표에 반영하는 것을 추천한다.
병원 연계 여부: 지역 병원과의 협력 체계를 통해 긴급 상황 시 빠른 의료 지원이 가능하도록 보장
의사 진료 가능성: 정기적으로 의사가 방문하거나 상주해 입주자의 건강 상태를 전문적으로 관리
간호사 상주 여부: 간호사가 상주하며 약물 관리와 응급 상황 대처에 중요한 역할 수행
응급 대응 시스템: 입주자가 언제든지 응급 상황을 보고할 수 있는 시스템과 신속 대응 체계
간병 및 요양 서비스 유무: 추가적인 돌봄이 필요한 입주자를 위한 전문 간병 서비스 제공
이들 항목은 입주자의 신체적, 정신적 안정과 가족의 신뢰를 확보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 대표적으로 병원 연계와 의사 진료는 긴급 상황에서 생명을 구할 수 있는 핵심 요소다. 또한 간호사 상주와 응급 대응은 일상적인 안전 보장에 기여한다. 간병 및 요양 서비스는 노인층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요구를 충족하는 데 필수적 요소다.
프리미엄 건강관리 서비스: 플러스 알파의 차별화된 경쟁력
프리미엄 건강관리 서비스는 기본 서비스를 넘어 차별화된 접근을 통해 시설의 경쟁력을 높이고 고급 입주자를 유치하는 데 기여한다. 높은 등급으로 평가되기 위한 주요 프리미엄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프로그램: 유전자 검사, 생활 습관 분석 등을 기반으로 한 1대1 맞춤형 건강 플랜 제공
전문 의료진 상주: 가정의학과 전문의와 간호사가 상주하며 즉각적인 의료 상담 및 치료 제공
웰니스 프로그램: 물리치료, 심리 상담, 요가, 명상과 같은 웰빙 중심의 프로그램 운영
첨단 의료 기술 도입: 원격 진료와 AI 기반 건강 관리 솔루션 제공
전용 건강관리 시설: 온천, 전문 재활 치료실, 체력 단련실 등 다양한 고급 시설 제공
위와 같이 건강관리 서비스는 시니어 타운의 핵심 경쟁력이자, 입주자의 삶의 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다. 기본 헬스케어 서비스의 탄탄한 기반 위에 프리미엄 서비스를 더해 고령화 사회에서 시니어하우징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해 나갈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