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상장 인프라펀드협의회 출범...관련 시장 성장 목표
일본 도쿄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인프라펀드를 운용하는 자산운용사 5개사는 최근 '사단법인 상장인프라펀드협의회'를 설립했다고 일본 언론이 밝혔다. 협의회 발족은 상장 인프라펀드 시장의 확대와 발전을 위해서다.
협의회는 상장 인프라펀드의 원활한 운영을 지원하고 정책 제언이나 투자자에 대한 홍보 활동 등을 펼칠 계획이다. 인프라펀드는 경기변동의 영향을 덜 받고,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인 수익을 내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장 인프라 펀드에는 엄격한 정보 공개 가이드라인이 있어 투자자는 펀드의 특성과 위험을 공개된 자료로 쉽게 알 수 있다.
상장시장에서 소액으로 거래할 수 있는 것도 매력이다. 상장 인프라펀드 마다 다르지만 연 환산 분배금은 6% 전후다. 이 같은 장점 덕에 투자자 중 개인 투자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
그러나 최근에는 시장 규모가 축소되고 있다. 전성기에 7개 종목이 상장됐던 펀드는 자산운용사를 지원하는 스폰서기업 등에 의한 TOB(주식공개매입) 결과 2개 종목이 상장 폐지됐고 지금은 5개 종목이 남았다.
상장 폐지가 잇따른 것은 재생 에너지 발전의 수요가 갈수록 높아짐에 따라 스폰서기업이 산하 상장 인프라펀드에 자산을 양도하는 것보다 다른 회사에 팔거나 스스로 보유· 운용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상장 인프라펀드의 운용자산이 FIT(고정가격매입제도)에 근거한 태양광 발전설비에 치우친 점도 지속적인 성장을 방해하는 요인이다. FIT 기한 종료와 함께 펀드 수익이 떨어질 위험이 있으며, FIT 전원에 대해 수행되는 출력 제어 등에 대한 대응이 요구된다.
게다가 세제 우대조치인 펀드 도관체가 특례 조치로 한시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도 영구적 도관체 특징을 가진 리츠(부동산투자회사)에 비해 불리한 제약으로 평가받고 있다. 세제 관련 불확실성에 따라 투자자의 기대감도 줄어 펀드 자금조달이나 자산 취득도 어려워진다.
일본 상장 인프라펀드가 지속 성장해 나가기 위해서는 제도상 과제를 극복하는 것 외에도 자산을 다양화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비(非)FIT의 태양광발전이나 풍력발전, 수력발전, 나아가 에너지저장설비, 통신타워, 공항, 도로, 상하수도시설 등의 인프라로 투자 대상이 확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다양한 투자를 통해서만 탈탄소화나 ESG과제 해결에 기여하고 싶다는 투자자의 기대에 부응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