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구독하기
헤더 광고 왼쪽
프로젝트금융·대체투자 실무자를 위한 마켓 인텔리전스, 딜북뉴스
헤더 광고 오른쪽

지방 분양 부진에 롯데건설·BS한양·KCC건설 '부정적' 경고등

딜북뉴스 스탭
- 5분 걸림 -
게티이미지뱅크

건설업 2025년 정기평가 결과

건설업의 신용도 하락 도미노가 이어지고 있다. 한국신용평가의 2025년 정기 신용평가에서 롯데건설의 신용등급이 한 단계 하향 조정됐으며, BS한양의 등급 전망은 ‘부정적’으로 바뀌었다. KCC건설 역시 기존의 부정적 전망을 유지하며 반등 기회를 잡지 못했다. 한신평은 “하반기에도 지방 위주 PF사업장의 분양 성과가 신용도 향방을 가를 것”이라고 지목했다.

4일 한신평이 발표한 '건설업 2025년 정기평가 결과 및 하반기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롯데건설은 PF보증 규모를 줄였음에도 여전히 3.6조원 규모의 우발채무를 안고 있다. 이 중 미착공 사업장과 수도권 외곽, 홈플러스 점포 개발사업 관련 PF보증이 핵심 리스크로 꼽힌다. 광주·의정부 등 주요 현장의 분양 부진과 공사원가 상승 여파로 재고자산 부담이 커질 수 있으며, 3월 기준 부채비율도 여전히 205.8%로 높은 수준이다. 한신평은 신용도 하향 가능성 증가 요인으로 ‘부채비율 250% 초과’를 제시했다.

지난 5월 BBB+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전망이 변경된 BS한양은 계열 시행 및 에너지사업 관련 자금소요가 불거졌다. 계열 대여금 및 에너지 투자금 회수가 지연되는 가운데, 순차입금은 4249억원까지 확대됐다. 솔라시도, 김포풍무 B1·B2 등 대규모 사업장의 착공이 예정된 상태로 운전자금 부담이 이어질 수 있다. 순차입금/EBITDA는 4.9배로, 신용도 하락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KCC건설은 지방 주택 현장의 분양실적 부진으로 영업 및 재무 변동성을 겪고 있다. 대구 수성 포레스트 스위첸, 광주 상무 퍼스티넘 스위첸 현장의 책임준공 연장 과정에서 PF보증이 추가되면서 도급사업 PF보증 규모는 5000억원을 웃돌고 있다. PF차입금 상환이 가능한 수준의 분양률에 도달하지 못한 현장의 경우,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자료=한신평

이런 가운데, 건설업 전반의 PF리스크도 여전히 뇌관으로 지목되고 있다. 한신평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18.6조원의 도급사업 PF보증 중, 우발채무 현실화 가능성이 높은 미착공 사업장 관련 금액이 8.4조원에 이른다. 본PF로 전환되거나 착공이 이뤄졌더라도 분양 실적이 저조한 현장이 늘고 있어, PF리스크는 여전히 건설사 재무안정성의 주요 제약요인이다.

특히 홈플러스 점포 개발사업은 임대차계약 해지 가능성 등이 불거지며 우발채무 현실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롯데건설, DL이앤씨 등 주요 건설사들이 다수의 점포에 대해 후순위 PF보증을 제공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신평은 “서울과 정비사업 중심으로 영업하는 대형 건설사들은 차별화된 대응력을 보이고 있지만, 분양률과 매출채권 회수 실적에 따라 대형사 간 신용도 격차가 벌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BBB급 중견 건설사의 경우, 지방 사업장 비중이 크고 특정 현장의 분양실적 부진이나 PF위험이 개별 신용도 전반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는 위험이 여전하다는 평가다.

한신평은 하반기 신용평가에서 분양이 부진한 지역을 중심으로 건설사별 공급 물량과 실제 분양 실적 등을 중점적으로 확인할 계획이며, 진행 현장의 분양률 제고와 정상적인 입주를 통한 공사대금 회수 여부, PF우발채무 리스크 완화 수준을 검토해 신용등급에 반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건설부동산신용등급건설업한국신용평가

딜북뉴스 스탭

딜북뉴스 독자를 위한 핵심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1 이달에 읽은
무료 콘텐츠의 수

국내외 개발금융 트렌드와 인사이트를 한눈에🙌 유료 구독 결제 시 모든 콘텐츠 열람이 가능하며, 구독 기간 동안 딜북뉴스의 모든 유료 콘텐츠를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료 구독하면 결제 후 즉시 모든 콘텐츠를 자유롭게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Powered by Bluedot, Partner of Mediasphere
닫기
당신이 놓친 글
서울 강남역 인근 '600평 규모 개발부지' 인수 우협에 코람코운용
서울 강남역 인근 '600평 규모 개발부지' 인수 우협에 코람코운용
by 
원정호
2025.7.10
글로벌 주거용 부동산 자산 286.9조달러...코로나 이후 19% 증가
글로벌 주거용 부동산 자산 286.9조달러...코로나 이후 19% 증가
by 
딜북뉴스 스탭
2025.7.10
2분기 오피스 임대차 분석: 공급 우려보다 수요 회복 흐름에 주목할 때
2분기 오피스 임대차 분석: 공급 우려보다 수요 회복 흐름에 주목할 때
by 
장현주
2025.7.10
15일 매각 입찰 앞둔 시그니쳐타워...평당 3000만원 중반 형성 전망
15일 매각 입찰 앞둔 시그니쳐타워...평당 3000만원 중반 형성 전망
by 
원정호
2025.7.9
당신이 놓친 글
서울 강남역 인근 '600평 규모 개발부지' 인수 우협에 코람코운용
by 
원정호
2025.7.10
서울 강남역 인근 '600평 규모 개발부지' 인수 우협에 코람코운용
글로벌 주거용 부동산 자산 286.9조달러...코로나 이후 19% 증가
by 
딜북뉴스 스탭
2025.7.10
글로벌 주거용 부동산 자산 286.9조달러...코로나 이후 19% 증가
2분기 오피스 임대차 분석: 공급 우려보다 수요 회복 흐름에 주목할 때
by 
장현주
2025.7.10
2분기 오피스 임대차 분석: 공급 우려보다 수요 회복 흐름에 주목할 때
15일 매각 입찰 앞둔 시그니쳐타워...평당 3000만원 중반 형성 전망
by 
원정호
2025.7.9
15일 매각 입찰 앞둔 시그니쳐타워...평당 3000만원 중반 형성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