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사업, 민간투자시장 ‘주류’로 떠올랐다

전통적인 인프라인 도로·철도 대신 하수처리장, 하수관로 등 환경사업이 민간투자시장의 대세로 부상하고 있다. 민자 지하도로와 수도권광역철도(GTX) 사업이 적정 공사비를 확보하지 못해 지지부진한 사이, 환경사업이 민자 흐름을 주도하는 모양새다.
기획재정부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민투심)가 올해 3월과 7월 두 차례 열어 의결한 9개 민자사업 안건 가운데 8건이 환경사업이다. 지난 8일 민자사업 대상사업 지정 및 제3자 제안공고안이 의결된 평택시흥 고속도로 확장사업(사업비 5891억원)만이 유일한 비환경사업이다. 이 사업은 현재 민자사업으로 운영 중인 평택시흥 고속도로의 만성 정체 해소를 위한 ‘개량 운영형’ 1호 사업이다.
올해 민투심에서 의결된 환경사업의 총 사업비는 대략 2조1000억원(기운영사업 제외)에 이른다. 우선 지난 8일 열린 '2025년 제2회 민투심'에서는 제3자 제안공고를 의결한 환경사업 4건이 포함됐다.
부산 수영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 사업(사업비 5949억원)은 ‘부산시 최초 하수처리시설’로 노후도가 가장 심각한 수영시설을 개축하는 사업이다. 시설을 현대화·지하화하고 상부 부지를 공원화해 수질 개선과 친환경 주민편익시설(공원, 체육시설 등) 조성이라는 이중 목표를 갖는다. 사업방식은 BTO-a(손익공유형 수익형 민자사업)다.
울산 여천하수처리시설 사업(사업비 1962억원)은 용연하수처리시설의 용량 부족과 노후화에 따라 하수처리 구역을 분리·조정하며 신규 시설을 구축하는 내용이다. 하수처리 능력을 보강하고, 처리수를 재활용해 울산 산업 활동을 뒷받침하며 여천천 생태복원도 함께 노린다. 사업방식은 BTO-a다.
대구 달서천(2 ~4구역) 하수관로정비 사업(사업비 5455억원)과 삼척 하수관로정비 사업(사업비 1765억원)은 각각 대구 달성공원서문시장~계명대 인근, 삼척시 동 지역 일원의 노후 하수관로를 정비하는 BTL(임대형 민자) 방식이다. 기존 합류식 관로를 분류식으로 전환해 하수처리 효율을 높이고, 지역 내 쾌적한 환경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밖에 여수 하수관로정비 사업(사업비 1199억원)은 사업시행자 지정 및 실시협약안이 의결됐다. 대구·삼척과 마찬가지로 합류식 관로를 분류식으로 정비하는 BTL 사업이다. 실시협약이 의결되면서 조만간 착공에 들어가 집중호우에 대비한 하수정비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용인 에코타운 조성 사업(사업비 2436억원)의 실시협약 변경안도 함께 통과됐다. 용인시 처인구 도시개발에 따라 발생하는 폐기물과 하수를 처리하고, 이를 에너지화하는 자원순환시스템 구축 사업이다. 변경된 협약에는 '용인특례시 하수도정비기본계획' 상 하수처리량 증가와 체육시설 등 주민편익시설 설치 내용이 반영됐다. 사업방식은 BTO-a다.
앞서 3월 열린 ‘2025년 제1회 민투심’에서도 환경사업 2건이 의결됐다. 의정부시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 사업(사업비 2465억원)은 노후된 기존 시설을 재건축하고, 지상부에 주민편익시설을 새로 조성하는 내용이다. 시행사는 의정부에코피아, 대표 주간사는 DL이앤씨다.
같은 회의에서 용인시 하수처리시설 사업의 실시협약 변경안도 통과됐다. 이 사업은 2010년부터 운영 중인 민자사업으로, 이번 협약 변경을 통해 용인시가 잔여 운영기간(2030년까지) 동안 전력비를 직접 납부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협약서상 운영비 구조가 조정되고 사용료도 인하된다.
민자업계 관계자는 "대형 도로·철도사업이 정체된 사이, 늘어나는 지역 수요 기반의 환경사업이 민자 흐름을 이끌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환경 민자시장의 확장에 따라 금융권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산업은행과 교보생명 계열 교보AIM자산운용은 지난 4월 각각 100억원씩을 투자해 ‘민자 환경사업 개발형 블라인드펀드 1호’에 대한 투자 약정을 체결했다. 이 펀드는 하수처리시설 현대화, 바이오가스화 시설, 생활폐기물 처리시설 등 환경 인프라를 주요 투자 대상으로 삼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