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구독하기
헤더 광고 왼쪽
프로젝트금융·대체투자 실무자를 위한 마켓 인텔리전스, 딜북뉴스
헤더 광고 오른쪽

글로벌 주거용 부동산 자산 286.9조달러...코로나 이후 19% 증가

딜북뉴스 스탭
- 4분 걸림 -
게티이미지뱅크

2024년 말 기준 전 세계 주거용 부동산의 총 자산 가치는 약 286조9000억달러로 집계됐다.  한국은 6조달러로 9위에 랭크됐다.  

글로벌 부동산 서비스기업 새빌스(Savills)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말 글로벌 주거용 부동산 자산은 미국 달러 기준으로 전년 대비 2.7% 하락했지만, 코로나 팬데믹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여전히 19% 높다. 팬데믹 이후 주요 국가의 주택 가격 상승과 주택 재고 확충이 총자산 가치를 끌어올린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지역 통화 기준으로 주거자산 가치가 증가했다. 실질적인 주택 가격 상승과 공급 확대가 동시에 작용한 결과다.

전 세계 주거용 자산의 71%는 상위 10개 국가에 집중돼 있다. 중국이 29%로 여전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미국(18%),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캐나다, 호주, 한국, 이탈리아가 뒤를 잇는다.  

중국은 부동의 1위를 지켰지만, 가격 하락과 신규 주택 공급 둔화로 전년 대비 5.2%(달러 기준 8%) 감소했다. 반면 미국은 5.1% 증가하며 시장 회복세를 나타냈다.

세빌스의 글로벌 리서치총괄 폴 토스테빈(Paul Tostevin)은 “주거자산 총액 증가는 시장 확장과 경제 성장의 신호일 수 있지만, 동시에 주거비 부담이 심화될 수 있다는 점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2024년 기준 국가별 순위에서는 호주가 2019년 11위에서 8위로, 이탈리아는 2022년 12위에서 10위로 올라서며 상위권에 진입했다.

신흥국 중에서는 베트남이 2019년 25위에서 2024년 22위로 상승했다. 인구 증가와 토지·주택 관련 제도 개편이 수요를 자극했으며, 신규 주택 공급도 활발하게 이뤄졌다.

싱가포르는 인구 규모(세계 109위) 대비 26위로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2019년보다 4계단 상승한 수치로, 가격 상승과 신규 개발을 통한 총 재고 확장이 작용한 결과다.

유럽 내에서는 공급 부족이 가격을 끌어올리며 네덜란드가 2019년 19위에서 2024년 15위로, 스페인은 20위에서 17위로 각각 순위가 올랐다.

토스테빈은 “주거 자산의 분포는 지역별로 극단적으로 불균형하다”고 지적했다. 유럽은 전 세계 인구의 10%만을 차지하면서도 전체 주거 자산의 25%를 보유하고 있으며, 북미는 인구 6%로 22%의 주거 자산 가치를 점유하고 있다. 반면, 인구 비중이 가장 큰 아시아와 아프리카는 상대적으로 적은 주거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그는 “이 같은 격차는 고성장 경제를 보유한 인구 밀집 국가에서 향후 가치 상승 여지가 크다는 점을 시사한다”며, “가령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인도는 현재 주거 자산 가치 순위 16위에 그치고 있다”고 덧붙였다.

글로벌 주거용부동산 시세총액 순위(출처=세빌스)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건설부동산세빌스

딜북뉴스 스탭

딜북뉴스 독자를 위한 핵심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당신이 놓친 글
서울 강남역 인근 '600평 규모 개발부지' 인수 우협에 코람코운용
서울 강남역 인근 '600평 규모 개발부지' 인수 우협에 코람코운용
by 
원정호
2025.7.10
2분기 오피스 임대차 분석: 공급 우려보다 수요 회복 흐름에 주목할 때
2분기 오피스 임대차 분석: 공급 우려보다 수요 회복 흐름에 주목할 때
by 
장현주
2025.7.10
15일 매각 입찰 앞둔 시그니쳐타워...평당 3000만원 중반 형성 전망
15일 매각 입찰 앞둔 시그니쳐타워...평당 3000만원 중반 형성 전망
by 
원정호
2025.7.9
GIC·미래에셋운용, 곤지암 물류센터 DWS에 매각 완료
GIC·미래에셋운용, 곤지암 물류센터 DWS에 매각 완료
by 
딜북뉴스 스탭
2025.7.9
당신이 놓친 글
서울 강남역 인근 '600평 규모 개발부지' 인수 우협에 코람코운용
by 
원정호
2025.7.10
서울 강남역 인근 '600평 규모 개발부지' 인수 우협에 코람코운용
2분기 오피스 임대차 분석: 공급 우려보다 수요 회복 흐름에 주목할 때
by 
장현주
2025.7.10
2분기 오피스 임대차 분석: 공급 우려보다 수요 회복 흐름에 주목할 때
15일 매각 입찰 앞둔 시그니쳐타워...평당 3000만원 중반 형성 전망
by 
원정호
2025.7.9
15일 매각 입찰 앞둔 시그니쳐타워...평당 3000만원 중반 형성 전망
GIC·미래에셋운용, 곤지암 물류센터 DWS에 매각 완료
by 
딜북뉴스 스탭
2025.7.9
GIC·미래에셋운용, 곤지암 물류센터 DWS에 매각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