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은행권, 부동산 PF 익스포저 115.5조
최근 부동산 경기 악화로 비은행권 부실위험이 높아진 가운데, 부동산 경기 위축이 장기화될 경우 비은행권 전체에 유동성 위기가 닥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한국은행의 '3월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비은행권(새마을금고 제외)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익스포저(위험노출액) 규모가 115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부문별로는 대출을 통한 익스포저가 91조2000억원, 채무보증을 통한 익스포저가 24조3000억원이다.
이 중 여신전문금융사(카드사·캐피탈사)와 저축은행, 상호금융의 부동산 익스포저 상승세가 눈에 띈다. 지난해 9월 기준 여전사의 부동산 익스포저는 2017년 대비 4.2배나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저축은행은 3.4배, 새마을금고를 제외한 상호금융은 3.1배 증가했다. 보험사가 1.7배 증가에 그친 것과 비교된다.
부동산PF 대출 관련 자산 건전성은 크게 악화됐다. 여전사의 PF 대출 연체율은 2021년 0.5%에서 지난해 9월말 1.1%로 상승했다. 같은 기간 저축은행은 1.2%에서 2.4%로 증가했으며, 특히 증권사는 3.7%에서 8.2%로 급증했다. 반면 보험사는 0.1%에서 0.4%로 늘어나는데 그쳤다.
부동산 PF 사업장 리스크도 늘어났다. 한은이 지난해 9월 기준 비은행권이 참여한 사업장별 월말 기준 리스크를 평가한 결과, 종합리스크 평균점수가 2020년 말 53.7에서 지난해 9월 67점으로 크게 증가했다.
종합리스크 점수는 한은이 △지역·연도별 부동산가격 하방압력 △사업진행 정도 △시공능력 등 9개 지표를 토대로 산출한 지표다. 100에 가까울수록 사업이 중단되거나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대해 한은 측은 "2021년 말부터 부동산가격 하락과 원자재가격 상승 등 건설 및 부동산업의 경영환경 악화가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또한 한은이 비은행 금융기관의 복원력을 점검한 결과 업권 전반의 자본비율은 규제비율을 상회하지만, 심각한 시나리오가 현실화될 예외적 상황에서는 규제비율을 하회하는 금융기관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했다.
한은은 "PF대출과 대출유동화증권이 부실화될 가능성에 대비해 비은행권의 부동산PF 리스크 관리에 유의해야 한다"며 "민간 중심의 원활한 구조조정 여건을 마련해 부실 우려 PF 사업장의 정리 지연에 따른 불확실성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