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상업시설 공간 기획 사례, <보이저 진월> 살펴보기
보이저 진월 전경(1)지방 상권의 재탄생: 광주 시리단길 이야기 (2)상업시설(리테일)공간 기획하는 법 (3)상업시설(리테일) 개발 사례: 보이저 진월 <보이저 진월>은 광주광역시 남구 진월동에 신축한 복합상업시설이다. 도보로 접근 가능한 거리에 사는 사람에게 패션잡화와 식사, 커피, 주류 등 일상적인 근린소비업종을 세련되고 낭만적인 분위기 속에서
보이저 진월 전경(1)지방 상권의 재탄생: 광주 시리단길 이야기 (2)상업시설(리테일)공간 기획하는 법 (3)상업시설(리테일) 개발 사례: 보이저 진월 <보이저 진월>은 광주광역시 남구 진월동에 신축한 복합상업시설이다. 도보로 접근 가능한 거리에 사는 사람에게 패션잡화와 식사, 커피, 주류 등 일상적인 근린소비업종을 세련되고 낭만적인 분위기 속에서
더시너지 첨단 건물 전경(사진=시너지타워)좋은 상업시설의 본질은 “장사가 잘 되는 것”이다. 장사가 잘 되면 매출이 오르고 오른 매출 만큼 낼 수 있는 월세가 높아진다. 월세가 높아지면 상가의 가치도 올라간다. 결국, 상업시설 개발의 성패는 ‘장사’가 핵심이다. 상업공간 기획할 때 건축을 비롯한 각종 디자인의 실효성 판단기준은 '장사가 잘
광주 첨단지구 중심상업지구 일대광주광역시 첨단지구는 첨단산업과 주거를 융합한 도시로 계획한 게 특징이다. 광주광역시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손잡고 1991년부터 첨단1지구, 첨단2지구 순으로 순차 개발했다. 29만평의 중심상업용지를 중심으로 주거와 첨단산업 연구단지, 그리고 공장들이 들어섰다. 그런데 개발 초기 위 지도의 빨간색으로 표시된 29만평의 중심상업용지는 계획된 주거시설과 공장들이 지어져 인구유입이 되는 것을 기다리지 못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