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구독하기
헤더 광고 왼쪽
프로젝트금융·대체투자 실무자를 위한 마켓 인텔리전스, 딜북뉴스
헤더 광고 오른쪽

英 M&G리얼에스테이트, 서울 황학동 95세대 임대주택 매입...韓 주거시장 첫발

딜북뉴스 스탭
- 3분 걸림 -
서울 황학동 임대주택(사진=M&G리얼에스테이트)

영국계 운용사 M&G리얼에스테이트가 한국 주거 시장에 첫 발을 내디뎠다. 일본과 호주에서 임대주택 투자를 이어온 M&G는 서울 중구 황학동에 위치한 임대주택(멀티패밀리)를 인수하며 아시아 주거섹터 포트폴리오를 확대했다.

M&G는 서울 중구 황학동에 위치한 지상 14층 규모 레지던스 건물을 약 243억 원(1740만 달러)에 매입했다고 6일 밝혔다. 해당 자산은 2019년에 준공된 신축 건물로, 스튜디오 및 복층형(loft) 구조의 아파트 총 95세대로 구성돼 있다. 인근에는 서울 중심업무지구(CBD) 및 주요 대학들이 밀집해 있어, 젊은 직장인과 대학생, 외국인 임차 수요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이 투자 포인트로 작용했다.

이번 거래는 M&G PLC의 생명보험 부문이 지난해 말 아시아 주거 전략에 2억5000만 달러를 배정한 이후 이뤄진 첫 한국 투자다. M&G는 앞으로 아시아 부동산 투자 규모를 총 25억 달러까지 확대할 계획이며, 한국 시장 진입은 이 같은 지역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거래는 국내 운용사인 캡스톤자산운용과의 협업으로 이뤄졌다.  M&G는 이번 임대주택 매입을 통해  안정적인 임대 수익을 기대하고 있다.  앞으로 공유 공간 리노베이션, 루프탑 라운지 조성 등 자산 업그레이드를 통해 부가가치를 높일 계획이다. 특히 한국 임대시장 내 기관투자자 보유 멀티패밀리 비중이 아직 5% 미만인 점을 고려할 때, M&G는 향후 주거 섹터에서의 선점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이번 서울 투자 이전 M&G는 지난 3월 호주 멜버른에서 6180만 달러 규모의 학생기숙사 자산을 인수했다.  지난해 말에는 일본 도쿄 신주쿠에서 라살로부터 멀티패밀리 레지던스 타워를 300억 엔(2억400만 달러)에 매입하는 등 아시아에서 주거 자산 포트폴리오를 확장해왔다. 현재 M&G는 글로벌 기준 약 74억 달러 규모의 주거 부문 자산을 운용하고 있다.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건설부동산멀티패밀리임대주택M&G리얼에스테이트

딜북뉴스 스탭

딜북뉴스 독자를 위한 핵심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1 이달에 읽은
무료 콘텐츠의 수

국내외 개발금융 트렌드와 인사이트를 한눈에🙌 유료 구독 결제 시 모든 콘텐츠 열람이 가능하며, 구독 기간 동안 딜북뉴스의 모든 유료 콘텐츠를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료 구독하면 결제 후 즉시 모든 콘텐츠를 자유롭게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Powered by Bluedot, Partner of Mediasphere
닫기
당신이 놓친 글
한토신 리츠, 분당 '휴맥스빌리지' 매각계획 승인...사옥 용도 적합 자산
한토신 리츠, 분당 '휴맥스빌리지' 매각계획 승인...사옥 용도 적합 자산
by 
원정호
2025.8.5
세빌스 "아시아 투자자, UAE 부동산으로 몰린다"
세빌스 "아시아 투자자, UAE 부동산으로 몰린다"
by 
딜북뉴스 스탭
2025.8.5
데이터센터와 코리빙, 주목받는 대체자산의 성장과 과제
데이터센터와 코리빙, 주목받는 대체자산의 성장과 과제
by 
우분투
2025.8.4
프라임 오피스의 새로운 기준, 어메니티가 경쟁력
프라임 오피스의 새로운 기준, 어메니티가 경쟁력
by 
민성식
2025.8.4
당신이 놓친 글
한토신 리츠, 분당 '휴맥스빌리지' 매각계획 승인...사옥 용도 적합 자산
by 
원정호
2025.8.5
한토신 리츠, 분당 '휴맥스빌리지' 매각계획 승인...사옥 용도 적합 자산
세빌스 "아시아 투자자, UAE 부동산으로 몰린다"
by 
딜북뉴스 스탭
2025.8.5
세빌스 "아시아 투자자, UAE 부동산으로 몰린다"
데이터센터와 코리빙, 주목받는 대체자산의 성장과 과제
by 
우분투
2025.8.4
데이터센터와 코리빙, 주목받는 대체자산의 성장과 과제
프라임 오피스의 새로운 기준, 어메니티가 경쟁력
by 
민성식
2025.8.4
프라임 오피스의 새로운 기준, 어메니티가 경쟁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