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형 증권사와 건설사들이 부도 위기에 처했다는 확인되지 않는 루머가 나돌면서 채권시장 혼란이 이어지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최근 단기 자금시장의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확대하고 있다며 은행 통합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규제 비율 정상화 조치를 6개월 유예하겠다고 밝혔다.
20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국고채 금리는 전일에 이어 최고 수준을 경신했다. 이날 12시 30분 기준 서울채권시장에서 국고채 3년물은 4.344%로 전일 대비 1.3bp 상승했다. 5년물은 4.428%로 1.2bp 뛰었다.
전날 국고채 3년물 기준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8.9bp(1bp=0.01%p) 오른 연 4.331%에 장을 마쳤다. 10년물 금리는 연 4.396%로 11.9bp 상승해 연고점을 기록했다. 이는 2011년 5월 11일(연 4.41%) 이후 최고 수준이다.
5년물과 2년물은 각각 11.3bp와 9.0bp 상승한 연 4.406%, 연 4.316%에 마감했다. 20년물은 11.7bp 오른 연 4.257%로 2011년 8월 2일(연 4.26%)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연고점을 새로 썼다. 30년물과 50년물은 각각 8.8bp와 9.6bp 상승으로 연 4.143%, 연 4.100%를 기록했다. 각각 첫 발행일인 2012년 9월 11일, 2016년 10월 11 일 이후 가장 높다.
이처럼 국고채 금리가 최고치 수준으로 치솟는 이유는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에 더해 강원도 레고랜드 관련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디폴트(채무 불이행) 사태 등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한 자금 불안이 채권 시장을 뒤덮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투자 심리는 급격히 위축되는 분위기다.
중소형 증권사와 건설사의 부도 가능성에 대한 루머에 한국은행 등 금융당국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루머에는 L캐피탈이 연 15%대 고금리로 기업어음(CP) 발행에 나섰지만, 실패했다는 내용이 담겼다. 계열 건설사가 프로젝트파이낸싱(PF)상환에 어려움을 겪자 L캐피탈마저 자금조달에 차질을 빚었다는 내용의 지라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