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구독하기
헤더 광고 왼쪽
프로젝트금융&대체투자 종사자를 위한 마켓인텔리전스 '딜북뉴스'
헤더 광고 오른쪽

글로벌 전기차(EV)충전 인프라시장 동향(Feat. KIND)

딜북뉴스 스탭
- 17분 걸림 -

전기차 충전(사진=게티이미지뱅크)

<아래 콘텐츠는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의 협조 아래 '글로벌 PPP 주제/권역별 동향(4분기)' 보고서에서 전재했습니다.>

 

전기자동차(EV) 동향

 

 

□ 시장 개요  

글로벌 EV 시장 ‘21년 판매량 약 675만대에서 ‘24년 1,700만대 판매 예상(전체 자동차 판매의 20% 차지 예측)으로 지속 성장 중

- (성장률)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3년 전세계 EV 판매는 1,400만대로 전년 대비 35% 증가, 전 세계 EV 보유 대수 4,000만대 도달

·중국·유럽·미국은 가장 큰 시장이며 ‘23년 전체 판매량의 약 95% 차지

- (성장 주요 원인) 정부의 정책적 지원, 기술 혁신, 환경 규제 강화 등

·유럽 자동차 산업, GDP 7% 이상을 차지하며 연간 591억 유로 연구개발(R&D) 투자 중

- ‘23년 EV는 약 130TWh의 전기를 소비(노르웨이 연간 전기 소비량 해당), EV 사용으로 ‘23년 전세계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 2.2억톤 절감

 

EV 충전 인프라 동향

 

 

□ 주요 현황

글로벌 EV 충전 인프라 시장 ‘18년 90억불에서 ‘22년 441억불로 확대, 충전 인프라 개발 및 확장 사용자의 편리성과 접근성을 높여 EV 시장 성장의 핵심 요소로 평가

- SNE 리서치(한국 에너지분야 시장조사기관)에 따르면, 시장 연평균 32% 성장, ‘30년에는 4,182억불로 확대 전망

ㅇ (충전 기술 발전) 초고속 충전 고속 충전 기술 개발로 충전 시간 지속 단축 중

초고속 충전소

- 350kW급 용량으로 15분 이내 80% 충전 가능

고속 충전소

- 22kW 이상 용량으로 80% 충전에 약 30분 소요

일반 충전소

- 가정 및 상업 지역에서 주로 사용

- 평균 4~8시간 소요로 속도는 느리나 설치 비용 저렴

ㅇ (에너지 기술 발전) 재생가능에너지원(태양광, 풍력)과 통합된 하이브리드 충전소 기술 개발 중, 스마트 충전 네트워크 기술(전력 사용 최적화)이 주요 요소로 등장

- 화석연료 의존도 완화·청정에너지 활용으로 탄소 배출을 비약적으로 감소시켜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 및 에너지 전환 가속화

- 단순한 전력 공급 설비를 넘어, 에너지 저장·배분·재활용과 결합된 다목적 인프라로 발전

□ 민간 충전 인프라(Private Chargers) 동향

ㅇ (가정용 충전) 전세계적으로 가장 일반적인 방법

- (장점) 개인 주차 공간 보유 시 차량 소유자의 야간 충전이 용이하고 전기 수요가 낮은 시간대의 저렴한 요금으로 사용 가능

- (한계) 인구 밀도가 높은 도시에서는 다세대 주택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아 가정용 충전에 대한 접근이 제한적, 공공 충전에 더 의존*

* 예로, 인구 밀도가 높은 우리나라에서는 EV 대비 공공 충전(Public charging) 용량 비율이 가장 높음

[주요 지역별 가정 충전 인프라 보급 현황]

국가

현황

노르웨이

- 차 판매 중 EV 비율이 90%를 넘고, 소유자의 82%가 가정용 충전기 사용

멕시코

- EV 판매 비율이 2% 미만이지만, 소유자의 71%가 가정용 충전기 사용

영국

- 정용 충전 접근성이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로, 93%가 가정 충전 가능, 그중 절반 이상은 스마트 충전기 사용

- 스마트 충전 규정을 가장 먼저 도입한 국가이며, 주택 소유자가 많은 초기 EV 소비자의 특성도 영향을 미침

인도

- 소비자의 55%가 가정 충전 가능

- (설치 장애요인 ①) 100-120V 전력을 사용하는 지역(미국, 캐나다 등)에서는 충전 속도가 느리고, 전용 충전기 설치 필요

* 220V 이상의 전력을 사용하는 지역(유럽, 호주, 아시아 일부 등)에서는 일반 가정용 콘센트를 통해 밤새 충전 가능

- (설치 장애요인 ②) 개발도상국(인도네시아, 콜롬비아 등)에서는 충전기 설치 비용과 개인 주차 공간 부족으로 설치 어려움

ㅇ (기타 충전소) 가정용 충전 외에도 직원, 고객 전용 등으로 민간 충전소 운영

- 미국 약 15,900개의 가정 외 기타 충전소가 있으며, 유럽연합(EU)에서는 250,000개 이상이 제한적으로 접근 가능

□ 공공 충전 인프라(Public Chargers) 확장

ㅇ 공공 충전기는 사설 충전기에 비해 적지만, EV 보급 및 접근성 향상을 위해 설치 필수

- ‘23년 기준 공공 충전소 수 약 40% 증가, 고속 충전기 수는 55% 성장

- 고속 충전기는 ‘23년 말 기준 전체 공공 충전기의 35% 이상을 차지

□ 설치 현황

공공장소·도심·고속도로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주요 설치 지역은 중국(50%), 유럽(30%), 미국(10%) 해당

[주요 지역별 충전 인프라 현황]

구분

충전소 수()

주요 내용

중국

11,880,000

(공공 : 339만개

사설 : 849만개, ‘24.10. 기준)

·기술 발전으로 충전소 급속 성장, ‘24EV 충전시장 약 10~20조원 예상

- 출력이 고 소형 배터리를 지원하는 대중적인 전기차에 초점

- 공공 충전소 매월 약 7만개씩 증가

유럽

(EU)

632,423

(`23년 말 기준)

- 주요 도로망 중심 충전소 배치 강화

- 네덜란드(14만개), 독일(12만개), 프랑스(12만개) 중심으로 주요 거점 지역 충전소 설치 확대(EU 충전소의 약 61% 보유)

농촌 및 외곽 지역에서는 충전 인프라 부족으로 인해 EV 채택 지연

- 재생에너지와 통합된 충전 네트워크 개발 중

‘17~’23년 사이 EV 판매는 18배 증가, 공공 충전소는 6배 증가에 그침

전체 충전소의 약 13.5%가 고속 충전소(22kW 이상)

미국

138,100

(‘23.5. 기준)

- 고속도로 및 주요 거점 중심 분포

- EV 차량 대비 충전소 부족으로 주행거리 불안 존재

시장 파편화(다양한 충전소 운영자 및 충전기 유형 등) 및 엄격한 인증 기준으로 비용 상승

□ 주요 시장 정부 정책 및 목표

구분

주요 정책

중국

- 25년까지 EV 충전의 60%를 전력 소비가 적은 비혼잡 시간대(off-peak)*에 완료를 목표로 설정하여 5개의 도시에서 시범 추진 중 전력망 안정화 및 에너지 비용 절감 효과

EU

EPBD

(건물에너지성능지침)

모든 신축 건물에 충전소 설치 의무화

AFIR*

(대체연료 인프라 규정)

공공 충전소 구축 최소 요구사항 설정, ‘25년부터 주요 교통망(TEN-T) 60km마다 최소 150kW의 고속 충전소 설치 의무화

* 유럽 전역의 공공 충전소 배치를 관리하는 새로운 법률로, ’25년과 ‘30년까지 충족해야 할 구체적인 목표 제시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30년까지 승용차 CO2 배출량 55%를 줄이기 위한 목표로 350만 개의 공공 충전소 설치 제안(연간 약 41만 개 설치 필요)

미국

- 주 정부와 연방 정부 협력으로 ‘30년까지 50만 개의 충전소 설치 목표

IRA

(인플레이션 감축법)

충전소 및 EV 보조금 확대(차량 1대당 최대 7,500불 세금 공제, ‘32년까지 적용)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포함한 대체 연료 차량 충전소 구축 비용의 최대 30% 세금 공제 제공

양당 인프라법

(Bipartisan Infrastructure Law)

대규모 투자로 미국 전역의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산을 지원, 충전소 장비와 관련 기술 미국 내 생산 및 설치 촉진

구분

주요 정책

영국

- 전기차 판매 보조금 지급 중단, 공공 충전 인프라 확충에 16억 파운드 투입(’30년까지 공공 충전기 30만개 설치 목표)

뉴질랜드

- 주요 고속도로마다 150~200km 간격으로 충전 허브 설치 계획

캐나다

- ‘26년까지 33,500개 충전 포트 설치 목표

ㅇ 주요 시장(중국, 유럽, 미국)은 EV 판매를 가속화하기 위해 초기에는 EV 구매 인센티브를 도입했으며, 현재는 충전 인프라 확장에 초점

 

주요 과제 및 해결 방안

 

 

□ 주요 과제

󰊱 경제성 문제

ㅇ (초기 투자 비용 부담) 충전소 설치비용이 높아 민간 주도 사업 제한적

- 고속 충전소 설치 비용은 평균 5~10만불에 달하여 운영 수익 회수 기간이 길어짐

ㅇ (수익성 낮은 지역 문제) 이용량이 적은 농촌 및 외곽 지역의 충전소는 운영비 회수에 어려움

󰊲 지역적 불균형

ㅇ (농촌 접근성 저하) 도시와 고속도로 중심의 충전소 배치로 농촌 및 외곽 지역의 EV 사용자 접근성이 낮음

ㅇ (교통 요지 집중) 수익성 우선 충전소 위치 선정

󰊳 충전 속도 문제

ㅇ (저속 충전) 일반 충전소는 완충까지 평균 4~8시간 소요, 긴급 충전 수요를 만족시키지 못함

- 미국의 중서부·농촌 지역 고속 충전소 부족으로 장거리 운행 제한

ㅇ (설치 제약) 350kW급 이상의 초고속 충전소는 전력 요구량이 높아 설치 및 유지비 과다 발생

󰊴 전력망 부담

ㅇ (충전소 확장과 전력 수요 증가) 전력망에 높은 부하 발생, 특히 피크 시간대 전력공급 안정성 저하 우려

ㅇ (재생에너지 의존성 증가) EV 충전소가 재생에너지와 연계되며 날씨와 시간대에 따른 전력 공급 변동성 문제 발생

󰊵 표준화 부족

ㅇ (충전기 및 커넥터 호환 문제) 제조사 및 국가 간 다양한 표준이 적용되어 EV 운전자가 특정 충전소만 사용 가능

- 중국(GB/T), 유럽(CCS2), 미국(CCS1) 등 표준 차이 존재, 호환 불가

ㅇ (결제 시스템 비일관성) 충전 네트워크 간 상호 결제 어려움 발생

□ 해결 방안

󰊱 공공-민간 파트너십(PPP) 활용

ㅇ (PPP(Public-Private Partnership) 사업 추진) 시장 침투의 초기 단계에서 상당한 재정적 위험을 수반할 수 있는 인프라 개발사업에 민간과 공공기관이 협력하여 투자 및 운영 부담 분담, 네트워크 확대 가능

- (사업 개발) 정부는 사업 관리 감독·보조금 지원·세금 감면, 기업은 전문 지식·노하우 제공 등의 협업을 통해 시너지 창출

캘리포니아의 무공해 차량 프로그램

- 리포니아 강력한 PPP 프레임워크로 자동차 제조업체가 일정 비율의 무공해 차량을 생산하도록 하는 ZEV(Zero-Emission Vehicle) 의무 지원

- 주정 리베이트와 보조금을 제공하고 민간기업은 EV 생산 및 충전 인프라에 투자

- (기술개발 지원) 정부의 연구 및 시범사업(Pilot Project) 자금 지원으로 기업 기술 발전 가능

인도의 FAME 제도

- 인도 정부의 FAME(Faster Adoption and Manufacturing of Electric Vehicles in India) 계획, 정부와 다양한 민간기업 간의 협력 포함

- EV 구매에 대한 보조금을 제공하고 충전 인프라 개발지원(‘237,000개 고속 충전기 설치)

- (위험 분담) 정부는 저금리 대출·보조금 등을 제공하여 재정적 위험 완화 가능, 기업은 프로젝트 관리 및 운영 효율성에 대한 전문 지식을 활용하여 사업화 가능성 제고

네덜란드 공공-민간 E-모빌리티 프로그램

- 네덜란드 정부는 민간기업과 협력하여 전국적인 충전 인프라 개발

- 충전소 설치에 대한 보조금EV 구매자에 대한 세금 인센티브가 포함되어 e-모빌리 채택 크게 촉진(세계에서 1인당 충전인프라 밀도가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가 됨)

󰊲 정부 보조금 제공 등 경제성 강화

ㅇ (보조금 제공) 농촌 및 외곽 지역 충전소 설치 재정 지원 확대, 신규 시장 창출

ㅇ (수익 모델 발굴) 충전 대기 시간을 활용, 광고나 부가 서비스(광고, 정비소, 식당, 휴게소 등)를 결합한 복합 충전소 운영*으로 수익 다각화, 새로운 소비 생태계 구축

* Tesla Supercharger 예시 : 충전소 주변에 카페·레스토랑·상점 등 결합 운영

󰊳 초고속 충전소 확대

ㅇ (기술 개발·확대) 고출력(350kW 이상) 초고속 충전 기술 도입과 관련된 연구개발 투자 강화, 대규모 시범사업 시행

- 유럽에서 Ionity 프로젝트* 초고속 충전소 구축에 중점을 두고 추진 중

* BMW, Ford, 현대자동차 등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이 공동으로 설립, 유럽 전역에 초고속 EV 충전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장거리 이동을 지원하고 EV 보급을 촉진하기 위한 이니셔티브

ㅇ (전력망 최적화 연계) 초고속 충전소의 분산형 전력 공급망과 통합 운영으로 효율성 증대

󰊴 기술 혁신 및 스마트 전력망 구축

ㅇ (ESS·분산형 에너지 사용) 태양광 및 풍력 기반의 에너지원을 에너지 저장 장치(ESS)와 결합하여 독립형 충전소 확대

* 유럽 예시 : 태양광 패널과 ESS를 결합한 에너지 자급형 설비 구축 활발

ㅇ (V2G(Vehicle-to-Grid)* 기술 활성화) 전기차를 전력망의 이동식 에너지 저장 장치로 활용하여 피크 수요 완화

*  전기차(EV)와 전력망 간의 양방향 에너지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혁신적인 기술로, EV 배터리를 단순 에너지저장 수단이 아닌 전력망의 주요 구성 요소로 활용

- 전력망 안정화, 재생에너지 활용 극대화, 소유자 잉여 전력 판매를 통한 추가 수익 창출 등의 효과

- V2G 시장은 ‘24년까지 50억 유로 이상으로 성장 예상

ㅇ (무선 충전 기술 도입) EV 주차 공간을 활용한 무선 충전소 개발로 사용자 편의성 강화

- 미국 WiTricity, Qualcomm Halo Wireless EV 무선 충전 기술(차량을 충전 패드 위에 주차 시 무선 충전 가능)을 인수 받아 기술 개발 및 상용화 중

ㅇ (에너지 자급형 충전소 구축) 재생에너지 기반의 독립형 충전소 설계로 전력망 의존도 감소, 환경영향 최소화 및 지속가능성과 경제성 증대

ㅇ (데이터 분석 기술 도입) 충전소와 연계된 IoT 및 AI 기반 데이터 분석·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등 혁신 기술 도입으로 운영 효율화

ㅇ (글로벌 표준 협력) IEC(국제전기기술위원회), ISO(국제표준화기구) 등과 협력 및 규제 완화를 통하여 국제표준 마련

- 국가 및 지역 간 충전 커넥터와 통신 프로토콜 표준화

ㅇ (결제 플랫폼 통합) 모든 충전소에서 통용가능한 결제 시스템 구축

- 유럽의 Roaming 시스템, 네트워크 간 결제 통합으로 사용자 편의성 높임

 

EV 시장 전망

 

 

구분

전망

각국 정부 시행 정책 달성 시나리오

(STEPS, The Stated Policies Scenario)

- ‘30년까지 전 세계 전기차 보유 대수(2·3륜차 제외)2.5억대 도달 예상

- ‘35년에는 5.2억대로 증가하며, 차량 4대 중 1대 전기차 예상

- ’35년에 EV 판매 비중 50%에 이를 것으로 전망

각국 정부 정책 목표 달성 시나리오

(APS, The Announced Pledges Scenario)

- ‘35년까지 전 세계 도로에서 약 5.8억대의 전기차 운행

- 66% 판매 비중 차지 예상

2050년 탄소중립 시나리오

- ‘50년까지 탄소중립(Net Zero) 달성되고, 전 세계 기온 상승이 1.5°C로 제한 가정

- ‘35년까지 전 세계 전기차 7.9억대에 도달해야 함

- EV 판매 비중은 95%에 이르러야 ’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 가능

※ 출처

ㅇ Global EV Outlook 2024(IEA, 2024.1.)(iea.org)

ㅇ THE GLOBAL ELECTRIC VEHICLE MARKET OVERVIEW IN 2024

(https://www.virta.global/global-electric-vehicle-market)

ㅇ AUTOMOTIVE INSIGHTS-Charging ahead : accelerating the roll-out of EU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ACEA, 2024.4.) (acea.auto)

ㅇ Project Perspectives : The Role of Public-Private Partnerships in U.S. Transportation Electrification(Husch Blackwell, 2024.5.)(huschblackwell.com)

ㅇ The Role of Public-Private Partnerships in Advancing E-Mobility(LinkedIn, 2024.5.) (https://www.linkedin.com/pulse/role-public-private-partnerships-advancing-e-mobility-e-safiri-ub0bf)

ㅇ Analysis of EV Charging Infrastructure in China, the US, and Europe(2024.11.) (https://thdevcharger.com/2024/11/18/analysis-of-ev-charging-infrastructure-in-china-the-us-and-europe/)

ㅇ 2024년 글로벌 충전 인프라 시장 성장률 32% 전망(SNE, 2024.8.)

(https://www.sneresearch.com/kr/insight/release_view/312/page/)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그린에너지전기차충전시설

딜북뉴스 스탭

딜북뉴스 독자를 위한 핵심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1 이달에 읽은
무료 콘텐츠의 수

국내외 개발금융 트렌드와 인사이트를 접할 수 있습니다🙌 유료 구독하면 결제 이후 바로 콘텐츠 열람 가능하며, 해당 기간 내 모든 콘텐츠를 읽을 수 있습니다!

유료 구독하면 결제 이후 바로 콘텐츠 열람 가능하며, 해당 기간 내 모든 콘텐츠를 읽고 볼 수 있습니다!

Powered by Bluedot, Partner of Mediasphere
닫기
당신이 놓친 글
2024년 해외 PF시장의 주요 이슈
2024년 해외 PF시장의 주요 이슈
by 
배인성
2024.12.26
하나은행, 47.5MW 임하댐 수상태양광발전 585억 금융주선 완료
하나은행, 47.5MW 임하댐 수상태양광발전 585억 금융주선 완료
by 
원정호기자
2024.12.24
이도, 바이오가스 2호 포트폴리오에 포항 사업 추가
이도, 바이오가스 2호 포트폴리오에 포항 사업 추가
by 
딜북뉴스 스탭
2024.12.23
집단에너지사업의 'LNG 용량시장' 참여 배경과 시사점
집단에너지사업의 'LNG 용량시장' 참여 배경과 시사점
by 
염성오
2024.12.22
당신이 놓친 글
2024년 해외 PF시장의 주요 이슈
by 
배인성
2024.12.26
2024년 해외 PF시장의 주요 이슈
하나은행, 47.5MW 임하댐 수상태양광발전 585억 금융주선 완료
by 
원정호기자
2024.12.24
하나은행, 47.5MW 임하댐 수상태양광발전 585억 금융주선 완료
이도, 바이오가스 2호 포트폴리오에 포항 사업 추가
by 
딜북뉴스 스탭
2024.12.23
이도, 바이오가스 2호 포트폴리오에 포항 사업 추가
집단에너지사업의 'LNG 용량시장' 참여 배경과 시사점
by 
염성오
2024.12.22
집단에너지사업의 'LNG 용량시장' 참여 배경과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