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구독하기
헤더 광고 왼쪽
프로젝트금융&대체투자 종사자를 위한 마켓인텔리전스 '딜북뉴스'
헤더 광고 오른쪽

젠스타메이트

젠스타메이트는 상업용 부동산자산을 관리하는 국내 1위 부동산 서비스 기업입니다. 리서치 및 컨설팅, 자산관리, 투자및개발사업자문, 임대자문, 기업부동산서비스, 물류부동산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300명의 부동산 전문가들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10조원 투입 복정역세권 개발, 서울 동남권 중심지 도약할까

10조원 투입 복정역세권 개발, 서울 동남권 중심지 도약할까

복정역세권 사업대상지(자료=LH)서울 송파구 복정동과 성남 수정구 일대, 이른바 복정역세권이 10조 원 규모의 초대형 복합개발을 통해 재편됩니다. 업무·상업·문화·교통·공공 기능이 집약되는 이번 사업은 위례신도시의 자족기능을 강화하고, 서울 동남권의 핵심 거점으로 도약하기 위한 전략적 개발입니다. 이번 개발은 두 축으로 나뉘어 추진됩니다. 하나는 LH가 주도하는 스마트시티 개발이고,

by젠스타메이트
건설부동산
우본 코어펀드, 왜 또 미래에셋운용일까...시장에 던진 3가지 신호

우본 코어펀드, 왜 또 미래에셋운용일까...시장에 던진 3가지 신호

게티이미지뱅크우정사업본부(우본)가 조성한 6000억 원 규모의 코어전략 부동산펀드 위탁운용사로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최종 선정됐습니다. 우본과 미래에셋의 세 번째 협업이자, 침체된 시장에 던져진 회복의 신호탄으로도 읽힙니다. 이번 코어전략펀드는 우본이 85%를 출자하고, 나머지 15%는 공동투자자 유치를 통해 채워집니다. 미래에셋운용은 '슈퍼 코어 자산 중심'이라는 운용 전략을 제시하며 서울 주요 권역의 프라임 오피스(

by젠스타메이트
건설부동산
"공실 막는 해법은 경험"...어메니티 경쟁 나선 오피스 시장

"공실 막는 해법은 경험"...어메니티 경쟁 나선 오피스 시장

럭셔리 오피스(게티이미지뱅크)'공실이냐, 경험이냐.' 서울 오피스 시장이 신규 공급 확대에 따른 공실 압박에 직면한 가운데 자산가치 방어를 위한 ‘어메니티 경쟁력’ 강화가 시장의 주요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서울 주요 권역 오피스 공실률은 2024년 3분기 4.6%에서 2026년 말 8.7%, 2029년엔 14% 이상으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임대료 상승률도

by젠스타메이트
건설부동산
CBD 오피스 77만평 공급 예고...공실률 우려 속 ‘금융사 복귀·공급일정' 변수

CBD 오피스 77만평 공급 예고...공실률 우려 속 ‘금융사 복귀·공급일정' 변수

게티이미지뱅크서울 중심업무지구(CBD)에 대규모 오피스 공급이 예고되면서 공실률 변화에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2025년부터 2029년까지 약 77만평 규모의 신규 오피스 공급이 계획돼 있으며, 이는 과거 연평균 공급량의 1.6배 수준에 달한다. 특히 공급이 집중되는 2027년 이후에는 공실률이 10% 이상으로 상승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다만, 공급 일정 지연과 임차인 유입 확대

by젠스타메이트
건설부동산
테헤란로 용적률 1800% 완화, 오피스시장에 미칠 영향은

테헤란로 용적률 1800% 완화, 오피스시장에 미칠 영향은

테헤란로 일대(게티이미지뱅크)서울 강남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테헤란로(강남역 사거리~포스코 사거리) 일대가 서울의 네 번째 중심상업지역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서울시는 13일 발표한 지구단위계획 변경을 통해 해당 지역에서 친환경 및 창의적 디자인을 갖춘 건축물에 대해 최대 용적률 1800%를 허용하고, 높이 제한을 철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정책이 시행되면 강남을 글로벌 비즈니스

by젠스타메이트
건설부동산
CBD에 둥지 튼 법무법인, 이유가 뭘까

CBD에 둥지 튼 법무법인, 이유가 뭘까

서울 CBD 세종로 일대(게티이미지뱅크)법무법인이 국내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서 주요 임차인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서울의 핵심 업무지구인 CBD(광화문·시청), GBD(강남·역삼), YBD(여의도)에는 국내 10대 법무법인의 사무실이 밀집해 있으며, 특정 오피스를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 법무법인의 선호 입지: CBD 중심 선점 서울 중심업무지구(CBD)는 법무법인이

by젠스타메이트
건설부동산
부실 채권 규모 47조, NPL시장 속 숨겨진 기회는

부실 채권 규모 47조, NPL시장 속 숨겨진 기회는

게티이미지뱅크 ‘NPL(Non-Performing Loan, 고정이하여신)’이 금융권의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습니다. 최근 NPL 시장이 급격히 확대되면서 금융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데요. 과연 NPL이란 무엇이고, 왜 지금 주목받고 있을까요? 함께 살펴보시죠! NPL이 뭔데?NPL(Non-Performing Loan)은 금융회사가 대출해준 자금을 회수하지 못해 발생하는 문제성 자산(고정이하 여신)을 의미합니다. 금융 회사의 대출(여신)

by젠스타메이트
파이낸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