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가스·폐기물처리·폐플라스틱 열분해 등 환경사업, 민자시장 달군다

정부의 환경사업 정책 강화에 따라 환경 분야 민간투자시장이 본격적으로 확대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인프라업계는 특히 바이오가스, 폐기물 처리시설, 폐플라스틱 열분해시설이 향후 환경 민자사업의 핵심이 될 것으로 보고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8일 민자업계에 따르면 올해부터 시행되는 바이오가스 생산목표제 도입으로 바이오가스 시설 사업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인다. 바이오가스 생산목표제는 하수찌꺼기, 분뇨 등 유기성 폐자원 처리 책임이 있는 전국 지자체 및 바이오가스 의무자에게 생산 목표율을 부여하는 제도다. 공공 부문은 올해부터, 민간 부문은 내년부터 시행된다. 공공은 50%, 민간은 10%의 생산 목표율을 달성해야 하며, 미달 시 과징금이 부과된다.
바이오가스 의무제 도입…한화·이도 등 사업 본격화
한화가 제안해 지난해 적격성 조사를 통과한 부산 수영하수처리시설 지하화(현대화) 사업은 하수 처리뿐 아니라 음식물 찌꺼기와 하수슬러지를 병합 처리해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구조다. 이 사업은 제3자 제안 공고와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을 거쳐 내년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도는 지난해 12월 포항시에 있는 파랑과 함께 유기성 폐기물을 활용한 바이오가스 사업을 위한 기본 및 실시설계, 인허가 용역 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지난해 8월 호남퇴비 사업에 이어 바이오가스 분야로의 추가 확장이다.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앞두고 소각시설 투자 확대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에 따라 폐기물 처리 민자시설도 확대될 전망이다. 종량제 봉투에 담긴 생활폐기물을 선별이나 소각 없이 매립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개정안은 수도권에서 내년 1월부터, 비수도권은 2030년부터 본격 시행된다. 이에 따라 생활폐기물은 선별 또는 소각 후, 소각재만 매립해야 한다.
산업은행은 지난해 4월 성남 폐기물 처리시설 민자사업에 720억원 규모 금융을 주선했다. 사업시행법인은 GS건설이 대표사로 있는 성남그린에너지다. 이 사업은 중원구 상대원1동의 노후 소각시설 인근 6422㎡ 부지에 하루 500톤(250톤 2기) 처리 규모의 생활폐기물처리시설 및 여열 이용설비를 신축하는 프로젝트다.
농협은행과 기업은행은 올 초 전남 목포 자원회수시설(생활폐기물 처리시설) 민자사업의 795억원 금융 조달을 마무리했다. 사업시행사는 목포에코드림이다.
탄소중립 기조 속 폐플라스틱 열분해 시장 ‘주목’
탄소중립 기조에 따라 폐플라스틱 열분해 처리 비중도 확대될 예정이다. 환경부는 폐플라스틱 열분해 처리 비중을 2030년까지 현재 0.1%에서 1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기존의 매립·소각 방식에서 열분해 방식으로 전환하겠다는 취지다.
한 자산운용사 인프라 투자팀장은 “환경부 주도로 폐플라스틱 열분해 기반의 윤활기유 생산기술 등 R&D가 진행 중이며, 현재 4개 지자체에서 공공 열분해시설 구축이 예정돼 있다”며 “SK, LG, 롯데, 한화 등 석유화학업체를 중심으로 관련 투자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스웨덴에 본사를 둔 글로벌 사모펀드 EQT는 지난해 국내 폐기물 처리 플랫폼 구축을 위해 KJ환경을 인수했다. KJ환경은 고품질 재활용 폐플라스틱 원료의 안정적 조달 역량을 바탕으로 국내 플라스틱 재활용 처리량 1위 업체다.
산업은행·교보, 환경 인프라 블라인드펀드 조성 가속화
환경 민자시장 확대에 따라 금융권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산업은행과 교보생명 계열 교보AIM자산운용은 이달 중 각각 100억원씩을 투자해 ‘민자 환경사업 개발형 블라인드펀드 1호’에 대한 투자 약정을 체결할 예정이다. 펀드는 하수처리시설 현대화, 바이오가스화 시설, 생활폐기물 처리시설 등 환경 관련 인프라를 주요 투자 대상으로 삼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