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가 전국 5200개 부동산PF사업장에 대한 전수 조사를 최근 마무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는 사업장별 사업성 평가에 따라 정상, 요주의, 악성 사업장 등 크게 3가지 등급으로 분류했다. 이 중  정상 사업장은 대주단 협의회를 통해  자율적으로 사업을  완료하고,  요주의 사업장은 캠코(자산관리공사)와 민간이 조성하는 부실PF매입·정리펀드 중심으로 정상화를 지원하기로 했다.  사업 진행이 불확실한 악성사업장은 NPL(부실채권)시장을 통해 정상화를 유도한다는 게 금융당국의 복안이다.

2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는  금융감독원의 통계와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보증사업장 데이터 등의 협조를 얻어 전국 5200개 PF사업장을 전수 조사 완료했다. 이 중 약 15%, 800곳에 가까운 사업장이 브릿지론 단계인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위는 빠르면 다음주에 사업장별 평균 대출 규모 등 대략적인 통계치를 공개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