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LH 매입약정 프로젝트의 PF 유형
자료사진(게티이미지뱅크)바야흐로 LH 매입약정의 시대입니다. 불황 이후 일반적인 방식의 시행 프로젝트의 금융 조달이 극히 어려워 짐에 따라 비교적 안정적인 구조의 상품들을 시장이 선호하게 되었고, 그 결과로 풍선효과의 수혜가 가장 큰 영역 중 하나가 LH 매입약정인 듯합니다. 간단하게 기술했습니다만, 상기 문장의 "일반적인 방식", 그리고 "비교적 안정적인 구조" 등은 조금 더 보완 설명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일반적인 방식이라 통칭한 시행 방식은 다름 아닌, 우리가 아주 익숙한 모든 종류의 "분양형" 상품들입니다. 분양(分讓), 즉 전체를 부분으로 나누어 여럿에게 나누어 판매하는 이 방식은 우리나라의 부동산 개발업 시장에서 절대적인 지위를 차지해 왔습니다. 이 방식의 전통적인 미덕들을 몇 가지 다시 짚어 보자면, a) 착공 이후 바로 분양을 개시함으로써 계약금, 중도금이 프로젝트로 인입되는 점, 즉 현금이 프로젝트 초반부터 인입된다는 점, b) 그에 따라 프로젝트의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
저는 제1금융기관의 여신심사역입니다 LH매입약정의 사업유형을 잘 나눠주셔서 보기 편했습니다 아울러 독자분들이 같이 고민해 보면 좋겠다싶은 부분은 LH매입약정의 수익성입니다 여러유형을 검토하다보면 해당사업의 수익성이 저조해 금융을 지원하는 입장에서 시행자의 사업의지?목적?을 고민할때가 많이 있습니다. (수익성의 결정하는데에는 여러요소가 있습니다만) 물론 1,2차 감정을 통한 매입가 상승분이 있다고 하나 여신심사의 입장에서는 불확실성에 노출되는 부분이니까요
다음에는 이런주제도 이야기해주시면 좋을듯 합니다
늘 좋은글 감사드립니다. 과거에도 현재에도 팬입니다 대표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