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주택시장 양극화 시대, 미분양 주택 해소 방안은
공사 현장(게티이미지뱅크)주택시장 양극화 현상 현재 우리나라 주택시장은 두 가지 심각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하나는 서울과 지방 간의 극심한 주택가격 양극화이고, 다른 하나는 지방의 과도한 미분양 주택 문제다. 이 두 현상은 서로 맞물려 주택시장의 구조적 불균형을 심화시키고 있다. 주택가격 양극화는 우리나라만의 현상은 아니다. 세계 주요국에서도 대도시와 지방 간의 자산가치 격차가 확대되는 추세가 뚜렷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서울과 지방의 주택가격 격차는 그 폭이 유독 크고, 회복 가능성 또한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더욱 심각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주택정책은 여전히 수도권의 가격 안정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는 듯하다. 강력한 대출 규제와 세제 강화 등 수요 억제 중심의 정책이 지속적으로 시행되고 있지만, 이는 지방 주택시장의 수요 심리를 더욱 위축시키는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다. 수도권의 과열을 식히기 위한 대책이 지방의 침체를 심화시키는 역설적인 결과를 낳고 있는 것이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
2020년이후 부동산상승기에 개발되었던 미분양아파트는 단기간에 공급이 많았던 것이 주요원인으로 이를 해결해야 지방경기가 살아날 수 있는 주요 과제임. 미분양해소는 공기업인 LH와 HUG만으로는 해결에 한계가 있으므로 민간이 참여한 민관합동으로 조기에 미분양해소를 추진하는 것이 좋은 방안임.. 실기하면 부동산가치 폭락으로 해결이 더 어려울 것임. 타이밍이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