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한국 vs 미국 부동산PF, 왜 이렇게 다를까②상환구조와 투자모델 차이, 우리가 배워야 할 점
게티이미지뱅크PF 모델 차이에 따른 해외 투자 시 오해와 한계 한국과 해외의 PF 모델 차이는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 PF나 인프라 투자에서 혼선을 불러일으키기도 합니다. 한국 PF는 제3자 보증 중심의 구조로 안전장치를 두는 반면, 해외 PF는 비소구(Non-recourse) 구조를 기반으로 프로젝트 자체의 수익성에 의존합니다. 국내 투자자들은 보증이 없다는 이유로 위험을 과대평가하거나, 반대로 국내 방식대로 보증이 있을 것이라 기대하며 오판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과거 한국 금융기관이 해외 PF에 참여할 때, 현지 구조를 오해해 투자기회를 놓치거나 손실을 본 사례도 있었습니다. 해외 PF는 계약상 명시되지 않은 모회사 지원이 기대되지 않으며, 채권자도 프로젝트 자산 외에는 청구권이 없습니다. 따라서 투자 전 프로젝트 펀더멘털과 법·제도 환경, 계약 구조를 면밀히 분석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한국 시행사들이 해외에 진출할 때도 문제가 발생합니다. 낮은 자본금과 고레버리지 모델을 기반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