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부동산 신탁사, 자금 확보와 손실 최소화의 시간
챗GPT 이미지2024년, 국내 14개 부동산신탁사가 10여 년 만에 처음으로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겉으로 보면 위기는 아닌 듯하다. 합산 영업수익은 1조 6400억 원으로 전년 수준을 유지했고, 신탁이외 수익과 이자수익도 증가했다. 하지만 핵심 수익원인 토지신탁 수수료가 25% 급감하면서, 실질적인 수익성은 이미 무너진 상태였다. 부동산 개발시장 침체가 본격화되며, 신탁사의 고수익 사업 기반이 흔들리기 시작한 것이다. 2023년 8600억 원이던 토지신탁 수수료는 2024년 6,400억 원으로 줄었다. 신탁 수수료 수익이 급감한 와중에도 영업수익 총액이 유지된 것은 신탁계정대 증가에 따른 이자수익 효과와 비신탁 부문 확대 덕분이었지만, 이는 일시적인 효과에 불과했다. 실제 현장에선 신탁사들이 외형을 유지하기 위해 자체 자금을 투입하고 있다는 점에서, 업계 전반이 개발시장 침체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수익보다 더 문제는 비용 구조다. 영업비용은 오히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