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2025년 한국 건설산업의 풍경
건설현장(사진=게티이미지뱅크)산업혁명기 조선의 건설경영 지금으로부터 229년 전인 1796년, 한반도는 정조대왕이 통치하는 왕국이었습니다. 유럽 영국에서는 석탄을 활용한 외연기관이 등장했고, 그 동력으로 방적기와 제적기를 돌려 면직물을 제조하고 있었습니다. 그 시기 한반도의 조선은 근세 최초의 계획도시라 할 수 있는 수원 화성(華城)을 건설하였습니다. 1차 산업혁명의 산물인 동력 기술에 비해 당시 조선의 건축술은 보잘것없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화성은 조선 건국 이래 14세기 한양성 축조술을 18세기 기술로 최신화하여 화려하게 부활시킨, 동아시아 최고의 건축물 중 하나입니다. 화성의 우수성은 건축물 용도에 충실한 설계, 재원과 재료 조달의 투명성, 그리고 동아시아 성곽축조술의 진화 양상을 고루 반영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4대문(동문: 창룡문, 남문: 팔달문, 북문: 장안문(정문), 서문: 화서문)을 잇는 5.7km 성곽에는 각 방향별로 노대(弩臺: 화살 쏘는 곳), 치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